인권 선언
(Prepared by the Baptist World Alliance Commission on Freedom, Justice, and Peace and presented by the Commission’s chairperson, William W. Pinson Jr., to the Congress on July 11, 1980.)
1980년 7월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린 침례교 세계연맹 1980년 총회를 위해 모인 우리 자유, 정의, 평화 위원회는 광범위한 인권 침해를 인식하고 정의, 자유, 평화, 사랑에 대한 성경적 명령을 적용해야 할 책임을 통감하면서 인권에 관한 이 성명서를 발표합니다.
신학 재단
Human rights are derived from God—from his nature, his creation, and his commands. Concern for human rights is at the heart of the Christian faith. Every major doctrine is related to human rights, beginning with the biblical revelation of God. Justice and mercy are used in the Bible to describe God’s ways with human beings, but they are also set forth as the responsibility of human to human. Why? Because God, the sovereign Lord of all, commands it. The Bible declares, “What does the Lord require of you but to do justice, and to love kindness, and to walk humbly with your God? (Mic. 6:8) Human rights are rooted in the nature of God. God is just, merciful, and loving. He requires of humans also to be just, merciful, and loving because they are made in his image and thus are created to be like God in his moral nature.
성경은 인권이 신이 창조한 세계의 본질에 내재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인류에 관한 몇 가지 기본 진리를 제시합니다. 인간은 하나님과의 관계, 인간의 잠재력을 최대한 개발할 수 있는 사회적 관계, 자연과의 조화로운 관계 및 그 열매를 향유하기 위해 창조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관계를 누릴 수 있는 각 개인의 권리는 관계에 책임감 있게 참여하는 것과 분리할 수 없습니다.
신이 창조한 영적 존재에 따라 개인 및 단체로 하나님을 예배하고 양심의 지시에 따라 신앙을 실천하고 전파할 권리가 있습니다. 모든 종교적 강압을 거부하고 다른 사람들이 예배를 드리고 신앙을 실천하고 전파하거나 종교적 믿음이 없다고 고백할 자유를 허용할 책임이 있습니다. 자유롭게 참여하는 예배만이 진정한 예배입니다.
As 도덕적 존재입니다, 하나님은 사람에게 선택의 자유와 책임 또는 그 선택의 자유를 주십니다. 사람은 하나님과 이웃에게 자유롭게 반응할 권리가 있으며, 하나님과 이웃을 사랑할 책임이 있습니다.
As 정신적-육체적 존재에 따르면 사람은 적절한 식량, 주거, 의복, 의료 서비스를 포함하여 생명과 자연을 누릴 권리가 있으며, 고문이나 노예제도를 통한 신체적 학대로부터 자유로울 권리가 있습니다. 일할 권리가 있습니다. 또한 가능하다면 자신과 타인을 위해 이러한 필수품을 제공하기 위해 일할 책임이 있으며, 타인의 기본적인 삶의 필수품을 학대하거나 박탈하지 않을 책임이 있습니다.
As 사회적 존재에 따라 사람은 가족, 종교, 경제, 정치 등 사회 집단에 소속되거나 소속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그러한 집단의 정체성과 열망을 표현할 권리가 있습니다. 또한 그러한 집단에 건설적으로 참여하고 다른 집단의 활동과 표현을 방해하지 않을 책임이 있습니다. 따라서 인권은 개인과 기업의 문제입니다.
Jesus Christ came to reveal not only the nature of God but also the true nature of humanity. Our standard for what it means to be fully human and thus for understanding human rights and responsibilities is Jesus Christ. Jesus’ life was dominated by self-giving Jove and was marked by a strong partiality for the poor and the powerless, for those whose rights are often denied. In defining his mission, Jesus declared, “The Spirit of the Lord is upon me, because he hath anointed me to preach the gospel to the poor; he hath sent me to heal the brokenhearted, to preach deliverance to the captives, and recovering of sight to the blind, to set at liberty them that are bruised” (Luke 4:18).
At the heart of Jesus’ teaching was the command to love God and to love one’s neighbor as oneself (Luke 10:27). Biblically, love is pictured not as a mere emotion, but as goodwill in action; love calls for doing something about the plight of one’s neighbor. For a Christian to observe the violation of another’s rights and do nothing is contrary to God’s command (Jas. 4:17). The Bible reveals that all persons are made in “the likeness of God (Jas. 3:9). The Scriptures declare that God “hath made of one blood all nations of men to dwell on all the faces of the earth” (Acts 17:26). Therefore, human rights are not for a few but for all.
Violations of human rights stem from humanity’s turning away from God which results in the turning of human beings against each other and against nature. Throughout the Bible God’s prophets strongly condemn the injustices and suffering which result from this. Nevertheless, they also proclaim God’s continued concern for humanity and promise the ultimate fulfillment of God’s original intention for the human race.
실제 적용
기독교 신앙의 신학적 토대와 성경의 직접적인 가르침은 모든 사람, 특히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사람들이 관심을 가져야 할 책임이 내포된 여러 가지 구체적인 인권을 제시합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1) 종교를 자유롭게 선택하고 정치적 이익이나 불이익 없이 종교적 신념 또는 불신을 유지할 권리.
(2) The right to meet together for worship and to share religious faith publicly with others; the government’s protection of these rights without discrimination among the faiths.
(3) 독신으로 남거나 자녀를 낳아 가족을 구성하고 그 자녀에게 종교 교육을 제공할 권리.
(4) 깨끗한 공기와 깨끗한 물, 위생적인 주거 공간, 현재와 미래 세대를 부양하고 육성할 수 있는 지구를 포함한 건강한 환경에 대한 권리.
(5) The right to be employed and to receive a just return for one’s labor.
(6) 적절한 식량, 의복, 주거 및 건강 관리를 포함한 노동의 결실에 대한 권리.
(7) 정치 과정에 참여하고 의사 결정 기구에서 발언권을 가질 권리
정부의 박해에 대한 두려움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습니다.
(8)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권리.
(9) 양심의 명령에 따라 신념을 표명할 권리
정부 또는 사회의 일반적인 규범.
(10)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권리.
(11) The right to be free from violence against one’s person, including slavery, torture, and inhuman or
모욕적인 형태의 처벌을 금지합니다.
(12) 자의적인 체포 및 구금으로부터 자유로울 권리.
(13) 고발인과 대면할 기회가 있는 공정하고 공개적인 재판을 받을 권리.
(14) 연령, 성별을 이유로 한 차별에 대해 법에 따라 평등하게 보호받을 권리,
인종, 종교, 계급, 문화적 배경, 결혼 여부, 경제적 상황 또는 장애.
(15) The right to a nationality, to freedom of movement and residence within the borders of one’s
nation state, and the right to travel from one’s country and return.
(16) 개별적으로 또는 타인과 공동으로 재산을 소유할 수 있는 권리.
(17) 평화적 집회의 자유에 대한 권리.
(18) 결사의 자유 및 특정 단체에 소속되도록 강요받지 않을 권리
연관성.
(19) 여가, 휴식 및 레크리에이션에 대한 권리 및 근무 시간의 합리적 제한에 대한 권리. (20) 교육을 받을 권리.
구현
To declare human rights is not enough. To strive to promote and to defend human rights within churches and society at large is also our responsibility. Human rights are universally applicable, but in today’s world they are universally violated. We confess our own involvement in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and likewise our silence, often neither protesting nor interfering when we witness violations. We pledge ourselves to the following efforts to advance human rights in our in our world.
복음화 인권 증진을 위한 핵심 요소입니다. 인권은 하나님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므로 모든 사람이 하나님을 알아야 합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사람들을 하나님께로 인도하면 무엇이 옳은지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과 내주하시는 하나님의 영을 통해 옳은 일을 행할 수 있는 능력이 모두 열립니다.
교육 는 인권 보호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인종차별, 성차별, 빈곤, 전쟁, 부패와 같은 주제에 관한 기독교 메시지는 교회 안팎에서 가르쳐야 합니다. 모든 기독교인은 자신에게는 특정한 권리가 부여되어 있으며 모든 사람의 권리를 옹호하고 증진해야 할 분명한 책임이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합니다.
선언 to the world of our concern for human rights and of our determination to see those rights promoted is imperative. In the light of the world’s condition, silence is sin. With prophetic courage we
는 인권 침해 사례를 게시하고 이를 양산하는 태도와 시스템을 바꾸도록 압력을 가해야 합니다.
액션, therefore, is part of our responsibility. In light of the Bible’s teachings concerning human rights, pastors should preach the word of God without fear or favor as it highlights human rights. Churches should champion justice for the oppressed, provide food for the hungry, support changes in laws and systems which harm human beings, and do the things that make for peace. Christians should assume responsibility for ministering in Jesus’ name to individuals whose human rights have been violated. Christians should endeavor to defend the rights of all persons no matter how far away or how weak they may be. Baptists everywhere ought to be involved not only in the proclamation of the gospel but also in the applica-tion of biblical truth in all areas of life.
결론
우리는 그리스도 예수를 주님으로 믿는 믿음으로 하나님의 능력으로 자유를 얻었으므로, 우리의 자유를 다른 사람들을 돕기 위해 책임감 있게 사용할 것을 서약합니다. 우리는 개인적으로뿐만 아니라 교회와 기관을 통해 인권 수호를 위해 기도하고 노력하며,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도록 노력하고, 모든 인권의 근원이신 의롭고 공의로우시며 자비로우신 유일한 분,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를 섬길 것을 약속합니다.
키워드
BWA; 부패; 차별; 교육; 환경; 전도; 인권; 정의; 사랑; 평화; 빈곤; 인종차별; 종교의 자유; 성차별.
인용
원본 소스 참고 문헌: 브라이언트, 시릴 E. 및 버크, 루비 J., 편집자. Celebrating Christ’s Presence Through the Spirit: Official Report of the Fourteenth Congress, Toronto, Canada, July 8-13, 1980. 내슈빌: Broadman Press, 1981.
원본 소스 각주/미주: 시릴 E. 브라이언트 및 루비 J. 버크, 편집자.., Celebrating Christ’s Presence Through the Spirit: Official Report of the Fourteenth Congress, Toronto, Canada, July 8-13, 1980 (내슈빌: 브로드먼 프레스, 1981), 246-250쪽.
온라인 문서 전체 인용: 1980 BWA 세계 대회 인권 선언; https://baptistworld.org/resolutions.
텍스트 내 온라인 문서 인용: (1980 BWA 세계 총회 선언).